항해99 7기 활동16 반전공자가 코딩부트캠프 항해99를 선택한 솔직 후기 항해99를 선택한 이유 현업을 배우고 싶다! - 경영대를 나오고 나서 이후 컴퓨터 공학을 융합 전공하고 1년의 휴학 기간의 여유를 가지기 시작한 나는 불안해졌다. 어떤 경험을 할 것인가에 대해 많은 고민이 드는 찰나 개발자 부트캠프를 찾게 되었다. 내가 지금까지 기초적으로 배운 자바 어법과 이에 관한 프로젝트를 만들기 위한 고민도 있었고 완벽한 개발자에 대한 방향에 있어 아직까지 아쉬운 느낌이었기 때문이다. 부트캠프를 찾던 중 '항해99'라는 부트캠프를 알게 되었다. 이 부트캠프에 지원하게 되면서 사실 많은 걱정이 있었다. 그중 가장 큰 걱정은 3개월 과정이었다. 다른 부트캠프는 6개월을 하는데 반해 항해99는 3개월 과정이다 보니 너무 간단하게 과정을 마치는 것이 아닌가 싶었다. 또한 타 부트캠프는 현.. 2022. 8. 17. 항해99 13주차 WIL 1. 실전프로젝트 회고 실전 프로젝트는 많은 것을 생각하게 된 시간이다.필자의 조의 실전 프로젝트는 여러 아이디어가 있었지만 8명의 공통점으로 음악을 즐겨 듣는다는 점이 있어서 음악 관련 사이트로 출발하게 되었다. 그 중 도엽님의 지인 분들 중 인디 아티스트 분들이 계셨고 나 또한 대학교 1학년 즈음에 음악 활동을 해본 적이 있어서 무명 음악가들을 위한 사이트를 만드는 것이 어떤가 생각했다. 이에 우리는 무명 음악가들의 음악을 스트리밍하고 음악가들이 자신을 알릴 수 있는 방송을 할 수 있는 사이트를 만들게 되었다. 실전 프로젝트는 그리하여 기본적인 CRUD, Stomp를 이용한 채팅, 이를 1차 캐시로 저장할 수 있는 Redis로 디비와 채팅 서버 간의 트랜젝션을 최소화하는 방식, 모든 사용자에게 데이터.. 2022. 8. 7. 항해99 12주차 WIL 1. 실제 서비스 배포, 설문 후 재정비 및 다듬기 드디어 대중들에게 필자의 조의 웹 서비스가 배포되었다. 음악 스트리밍과 방송이 주 기능인 웹사이트로 시작은 재미삼아 혹은 초기에 작곡을 시작한 사람들이 자신의 음악을 무료로 공유하여 대중들에게 알리자하는 취지에서 시작되었다. 필자의 조는 7월 28일 오전 11시 경에 배포를 시작했고 현재 누적 사용자 수가 200명 이상, 설문의 경우 97명이 참여하였다. 설문의 대부분의 평점을 9점대에 가까워 만족할 만한 성과를 이뤘고 아쉬운 점과 추가가 되었으면 하는 기능을 받았다. 초기 버전에는 소셜 로그인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에 따라 카카오 소셜 로그인을 Oauth 기능을 통해서 만들었다. 그리고 방송 시에 채팅 로그 시간이 적혀있지 않아 레디스에 저장한 .. 2022. 7. 31. 항해99 11주차 WIL 1. 실전 프로젝트 현황 실전 프로젝트는 이제 막바지에 달아 거의 인프라 안정화와 트래픽 계산, 알림 기능, 방송 사용자 수 표시 등의 추가 기능을 마쳤다. 실전 프로젝트의 현재 남은 일정은 필자의 팀이 구현한 코드들이 대용량 트래픽에 적합한지 Jmeter와 Artillery를 이용하여 검사할 계획이다. 그 외에도 문제가 발생하면 디버깅을 실행해야하므로 막연히 거의 끝나간다는 느낌은 사실 거의 들지 않는다. 오히려 할게 아직도 이렇게 많이 남았구나라며 혼자 생각을 정리하고 있다. 현재 필자의 조는 Jmeter를 통해 로컬로 트래픽 점검을 하는 중이다. 동시 접속자를 최대로 100명까지 정하여 각 api들을 파라미터와 토큰을 통해 테스트 절차를 밟고 있다. 다만 실제 서버에 강제로 트래픽을 강하게 주면 서.. 2022. 7. 24.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