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해99 7기 활동16 항해99 10주차 WIL 1. MVP 발표 준비 중간 평가, MVP 발표가 거의 근접하여 우리 조는 기능 구현에 박차를 가했다. 우리 조는 기본적인 CRUD는 끝냈지만 화상채팅과 메세지 구현이 완벽하지 않아 끝까지 집중했다. 캠과 카메라를 허용하기 위해 SSL 인증서를 발급받아 https로 사이트의 보안을 올려야했고 트래픽 걱정에 화상채팅 기능에서 중요한 open vidu 서버를 따로 띄워 만들기로 하였다. 이외에도 레디스를 도커에 깔아 실시간 채팅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STOMP를 사용하면서 채팅 내역들을 레디스에 전달해야했다. 이외에도 많은 작지만 필요했던 기능들을 추가시켰다. MVP 발표는 팀장님이 맡아주셨고 발표자료를 위해 필자는 백엔드의 관점에서 기능이 어떻게 돌아가는 컨트롤러, 서비스, 레포지토리, 엔티티, 쿼리 등을.. 2022. 7. 17. 항해 99 9주차 WIL 1. 배포 자동화와 GIT ACTION 9주차가 끝났지만 본격적으로 핵심기능 구현과 인프라 고도화가 시작되었다. 문제는 필자가 그동안 배웠던 자바가 아닌 새로운 툴을 적용해야하기 때문에 맨 처음부터 배우는 것과 다름이 없는 것이다. 처음에 젠킨스를 이용하여 CICD를 해결하려 했지만 젠킨스의 경우 하나부터 열까지 모든 단계를 지정해주어야 해서 많은 시간을 소비하였다. 대신 필자의 조는 깃 액션을 쓰기로 했는데 깃 액션은 깃허브의 하나의 기능으로 존재하여 서버를 직접 깔아야했던 젠킨스에 비해 상당히 편리했다. 접근성도 좋았고 기본적은 workflow 파일의 템플릿을 제공해주어 설정이 빨랐다. 필자의 조는 도커 파일을 작성하여 도커를 이용해 도커 허브로 파일을 올리고 그 파일을 서버의 도커가 내려 받아서 사.. 2022. 7. 10. 항해99 8주차 WIL 1. 주제 확정 및 기본 CRUD 작성 필자가 속한 6조는 작곡가들을 위한 음악 스트리밍과 협업에 관한 사이트를 만들기로 정하였다. 기본적인 페이지 설계와 필요한 기능, 추가적으로 구현할 인프라 고도화 등의 회의를 거쳐 월요일부터 기본적인 CRUD에 관한 REST api를 작성하기 시작했다. 기본적으로 필자의 조는 스트리밍 기능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MP3 파일을 어떤 방식으로 저장하고 어떤 방식으로 보낼지를 정해야했다. 필자의 조는 어떤 툴을 사용하여 MP3 파일을 저장할지 고민하였고 일단 저번 주차까지 사용했던 S3를 써보기로 했다. 결과는 성공이었다. s3는 어떤 방식의 확장자라도 저장이 가능했다. 이를 통해 파일들을 대부분 s3에 저장하고 그에 대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로 했다. 이후에.. 2022. 7. 3. 항해99 7주차 WIL 1. 클론코딩 프로젝트 클론코딩 프로젝트 주차가 진행되었다. 필자의 조는 크몽을 클론코딩할 대상으로 정했고 이에 따라 각자 분량을 맡고 접근하기로 하였다. 기본적인 CRUD에 소셜 로그인, 실시간 채팅을 추가 기능으로 삼고 이를 진행하게 되었다. 필자가 맡은 부분은 CRUD 및 소셜 로그인이었다. 필자는 소셜 로그인을 이번 주에 미리 해봄으로서 향후 있을 실전 프로젝트에 대비하여 준비 단계를 밟기로 했다. 2. 소셜 로그인 소셜 로그인은 인터넷에서, 다른 서비스의 계정에 기대러 새로운 계정을 만들고 접속하는 기능이다.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용자 7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소셜 로그인 이용 경험이 있는 사용자가 약 93퍼로 나타았고 낮은 연령대일수록 소셜 로그인 사용 경험이 많았다. 앱 이용에 앞서.. 2022. 6. 26. 이전 1 2 3 4 다음